본문으로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bukkit.yml 파일은 월드에 대한 설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포럼 항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적혀있지 않은 항목은 자동으로 기본값으로 지정되니, 굳이 입력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분류

항목

형식

기본값

설명

settings

 allow-end

boolean

 true

 엔더월드 활성화 여부

 warn-on-overload

boolean

 true

 서버과부화가 될때 뜨는 overload 메세지를 활성화합니다

 permissions-file

string, 파일명

 permissions.yml

 불러올 권한지정 파일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update-folder

string, 폴더명

 update

 업데이트된 플러그인을 넣어두는 폴더명으로써,

 서버가 시작 또는 재시작될때 이동됩니다.

 ping-packet-limit

integer, packets/sec

 100

 기본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use-exact-login-location

boolean 

 false

 서버유저가 다시 접속할때 캐릭터가 이동불가능한

(자갈등의 블럭에 의해) 상태에 있을때 근처에서

로그인 할수 있게 합니다.

 world-container

string, 폴더명 

 -

 월드파일이 저장될 폴더명을 지정합니다

 plugin-profiling

boolean 

 false

 플러그인으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해 기록합니다

 connection-throttle

 long, milliseconds

 4000

 서버 재접속 제한시간입니다

 query-plugins

boolean 

 true 

 원격으로 접속했을때, 적용된 플러그인의 목록을 반환해줍니다.

 deprecated-verbose

string(Boolean)

 default 사용중인 플러그인이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 항목으로 등록될 경우,
 경고메세지로 알려줍니다.

 shutdown-message

string

 Server closed

 서버에 접속중인 사용자에게 서버가 종료되었을때

보여주는 메시지입니다.  (한글 입력가능)

spawn-limits

각 월드당 

몹스폰 

개체수 설정 

 monsters

integer

 70

 월드당 몬스터 스폰 개체수

 animals

integer 

 15

 월드당 동물 스폰 개체수

 water-animals

integer 

 5

 월드당 바다생물 스폰 개체수

 ambient

integer 

 15

 월드당 박쥐나 나비등의 자연생물 스폰 개체수

chunk-gc

 period-in-ticks

 

 600

 필요없는  정크들을 언로드하는 주기입니다.

 load-threshold

 

 0

 정크들을 언로드 한 이후 로드해야하는 정크수

ticks-per

 animal-spawns

 

 400

 입력된 틱수 마다 동물을 소환시도합니다

 monster-spawns

 

 1

 입력된 틱수 마다 몬스터를 소환시도합니다

 autosave

 

 6000

 입력된 틱수마다 서버를 자동저장합니다.

auto-updater

 포럼원문 참조

aliases

 포럼원문 참조 // 명령어를 재정의(혹은 추가정의) 합니다.



[게임/마인크래프트] - [1.12.2] 마인크래프트 서버구축하기 1 (서버구축파일 다운로드)

[게임/마인크래프트] - [1.12.2] 마인크래프트 서버구축하기 2 (서버구동기 만들기)

[게임/마인크래프트] - [1.12.2] 마인크래프트 서버구축하기 3 (서버 아이콘설정방법)

[게임/마인크래프트] - [1.12.2] 마인크래프트 서버구축하기 4 (서버기본설정하기 server.properties편)

[게임/마인크래프트] - [1.12.2] 마인크래프트 서버구축하기 5 (서버기본설정하기 bukkit.yml편) <---- (현재글)



서버구축하기 설명은 여기서 이만 끝내고 다음부터는 플러그인과 모드 등 서버를 더 즐겁게 해줄 모드와 플러그인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