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저는 굶지마를 스팀에서 정품으로 구매하여 사용하는 입장으로써, 모든 글은 스팀플랫폼의 정품기준으로 작성하고있습니다.


 말머리구분

 [DS] : Don't Starve 오리지날

 [DS DLC] : Don't Starve DLC

 [DST] : Don't Starve Together



데디케이티드 서버 기본 설정법


저번 데디케이티드 서버 구동법에 뒤이어 이번엔 서버 기본설정법에 대해 알려드릴려고합니다..!




저번파일에서 그대로.. 연장해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문서에 Klei - TestServer 폴더 안에 있는(혹은 자신이 설정한 폴더이름  안에 있는) settings.ini파일을 열어줍니다.

이 안에 있는 내용들로 서버에 기본설정을 변경해줄수있는데요..!


중요한건 아래에 settings.ini 에 관한 입력가능한 항목을 모두 써드릴건데, 필요한 항목은 따로 추가해주시면 되고,

필요없다고 지우시진 마시고 그냥 그대로 두시면 됩니다...


[account] - 항목


 server_token 

 게임내 콘솔창(`키)에서 TheNet:GenerateServerToken()을 입력하신후, 

 내문서 - Klei - DoNotStarveTogether - server_token.txt파일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버 구동글참고()

 token 

 자동생성됩니다.


[network]  - 항목


 default_server_name

 

 서버목록에 보여줄 서버이름입니다

 max_players

 

 서버에 접속가능한 인원을 설정합니다 (1~64명)

 game_mode 

 

 서버에 게임모드를 선택합니다. (endless | suvival | wilderness )

 

 endless

 죽은후 시작게이트에서 부활이 가능합니다 

 

 suvival

 다른사람이 아이템으로 살려줘야 부활가능하며, 모두 죽었을경우 맵이 초기화됩니다.

 

 wilderness

 죽으면 유령이 되지않고 캐릭터 선택창부터 다시 시작합니다.

 pvp

 

 서버에 pvp여부를 설정합니다

 enable_snapshots

 

 서버를 일정주기마다 백업합니다. 추천하는 옵션은 아닙니다.

 enable_autosaver

 

 서버에 날이 밝을때마다 자동저장합니다.    (true | false)

 tick_rate

 

 서버의 대역폭을 설정합니다  (10 | 15 | 30 | 60)

 대역폭이 높을수록 호스트의 CPU와 인터넷속도 요구량이 높습니다. 

 pause_when_empty

 

 서버에 사람이 없을경우 서버를 일시정지합니다.  (true | false)

 server_save_slot

 

 서버의 저장슬롯을 설정합니다 (1~5)

 여기부터는 안쓰실경우 지우셔도 되는 옵션입니다.

 server_port

 

 서버에 포트를 설정합니다.

 connection_timeout

 

 서버에 일정시간 응답이 없을경우 추방합니다(8000 = 80초)

 enable_vote_kick

 

 서버에 플레이어들이 추방투표를 허락합니다. (true | false)          


매개변수 항목

매개변수 항목은 구동기의  바로가기를 만들어서 해당 바로가기에 강제로 실행(?)하는겁니다. 



위 사진처럼 구동기의 바로가기에 명령어를 써주시면 되는겁니다.

이 기능은 settings.ini 보다 상위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같은 항목으로 settings.ini에 있어도 매개변수 적용한 값이 우선적용 됩니다.



 -port

 1024 ~ 65535

 서버에 포트를 설정합니다

 -tick

 15~60

 서버 대역폭 값을 세세하게 설정합니다

 -players

 1~64

 서버에 최대인원수를 설정합니다

 -console

 

 콘솔기능을 활성화합니다

 -lan

 

 Lan서버로 서버를 엽니다.

 -conf_dir

 DoNotStarveServerDirectory

 내문서 - Klei 폴더에 어떤이름으로 저장할것인지 설정합니다.

 -persistent_storage_root 

 <AltPersistentStorageRoot>

 서버파일을 어느경로에 저장할것인지 설정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