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저는 굶지마를 스팀에서 정품으로 구매하여 사용하는 입장으로써, 모든 글은 스팀플랫폼의 정품기준으로 작성하고있습니다.


 말머리구분

 [DS] : Don't Starve 오리지날

 [DS DLC] : Don't Starve DLC

 [DST] : Don't Starve Together





저번글 그대로 따라하셨다면 위 오류와 함께 서버가 열리지않는데요..!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DST를 실행시켜 줍니다.


 



그리고 숫자키1번 옆에있는 ' < (물결무늬 아랫키)  를 눌려주시면 위와같이 콘솔창이 나타납니다.


콘솔창에 TheNet:GenerateServerToken() 을 입력해줍니다.

(대소문자 구분하므로 똑같이 써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아무일도 벌어지지 않습니다...


그대로 DST를 종료해주시고, 내문서에 들어가보시면...





위와같이 Klei 폴더에 들어가줍니다.





그럼 기본폴더인 DoNotStarveTogether 폴더와 TestServer가 생긴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일단 기본폴더인 DoNotStarveTogether 폴더로 들어가줍니다.





그리고 server_token.txt와  setting.ini 파일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두 파일을 실행해 봅시다.




파일 내용물은 사용자마다 조금식 다릅니다 ㅎㅎ


왼쪽 server_token.txt에 있는 내용을


오른쪽 setting.ini 의 [account] 아래쪽에 추가로 입력해주세요.





입력해주실때 앞에 

server_token = 쏼라쏼라

이런식으로 써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settings.ini 파일을 저희가 저장할 서버인 TestServer(혹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서버)로 복사해줍니다.





그리고 다시 서버구동기 폴더로 가셔서 만들어줬던 서버런처파일을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해줍니다.





그리고 서버구동창에 SteamGameServer_Init Success 가 떴다면 서버가 정상적으로 열린겁니다.





그리고 다시 게임을 실행시켜주시고 서버목록에서 자신이 정했었던 서버이름을 검색해주시면


위와같이 정육면체모양(데디케이티드 서버문양)의 서버가 열린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그리고 서버를 종료하실땐 별도의 종료명령어 없이 x 버튼을 이용해 종료하시면 됩니다.





이상 데디케이티드 서버 구축방법이었습니다-


다음엔 서버 설정방법으로 찾아뵙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