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저는 굶지마를 스팀에서 정품으로 구매하여 사용하는 입장으로써, 모든 글은 스팀플랫폼의 정품기준으로 작성하고있습니다.


 말머리구분

 [DS] : Don't Starve 오리지날

 [DS DLC] : Don't Starve DLC

 [DST] : Don't Starve Together


데디케이티드 서버란?

데디케이티드 서버란?

호스트 역할만을 전담하는 하나의 시스템이 모든 사용자들을 수용하는 방식의 게임 서버를 말한다. 사용자의 게임 클라이언트 자체를 서버 호스트로 지정하는 리슨 서버(Listen Server) 혹은 Peer to peer 방식과 구별된다.


즉 DST 에서 다른사람과 함께할때 자신이 직접 방을 만들어서 하는경우는 리슨 서버 라고 하며, 데디케이티드 서버를 구축하실 경우 호스트만 하는 프로그램을  따로 실행시키는 것입니다.


데디케이티드 구축방법

기본적인 정보는 이곳에서 참고하였습니다


먼저 아래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steamcmd.exe

원문출처(링크)



그리고 서버파일을 설치할 폴더안에 steamcmd.exe 파일을 넣어주신후 실행시켜줍니다.

저같은 경우는 " C:\DST_Server\Updater " 안에 넣었습니다.

주의하실점은 폴더에 띄워쓰기나 한글이 들어가서는 안됩니다.




steamcmd.exe 파일을 실행하시게되면 위와같이 열심히 다운로드를 합니다.





그리고 조금만 기다려 주시면 위 화면처럼

Steam> 

이라는 문구가 뜨면 다운로드가 완료된것이므로,

quit를 입력해 종료해줍시다.




Update_Script.txt

그리고 위 파일을 다운받아 주신후, Updater 폴더안에 같이 넣어주신 후,

Update_Script.txt 파일을 열어줍니다.



그럼 위화면과 같이 적혀있는데,

"C:\DST_server" 를 서버실행파일을 저장할 경로로 지정해줍니다.

저와 같은 경로에 설치를 하셨으면 Updater폴더의 상위폴더에 서버 실행파일이 저장됩니다. 




steamcmd.exe 파일을 오른쪽마우스 클릭하여 

바로가기를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저는 헷갈리지않기 위해 생성된 바로가기의 이름을 Updater 로 변경해주었습니다.




생성한 바로가기의 " 속성(R) " 메뉴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바로가기 메뉴에 " 대상(T): " 탭에서 steamcmd.exe 뒤쪽에 " +runscript Update_Script.txt " 항목을 추가시켜준 후

확인을 눌려줍니다.





그리고 업데이터를 실행시켜 주시면 위와같은 화면이 뜨고 다운로드가 진행된후,

완료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그리고 상위폴더로 나오신 후, bin 폴더안으로 들어가줍니다.





그럼 위와같이 " dontstarve_dedicated_server_nullrenderer.exe " 파일이 있는데 이 파일이 있는데 이 파일이 서버 실행파일입니다.


바로가기를 생성해줍니다




저는 편의상 바로가기를 상위폴더로 꺼내고 이름을 " server_launcher.exe "로 바꿨습니다.

생성된 바로가기의 속성(R)에 들어가주세요.





그리고 아까와 마찬가지로 바로 가기 메뉴의 대상(T): 탭 뒤쪽에

-conf_dir TestServer

를 입력해주세요.


이때 TestServer는 서버데이터가 저장될 폴더 이름으로, 기본폴더와 구분하여 데이터 관리가 쉽게끔 바꿔주는것입니다.

사용자가 편하신대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서버파일을 실행시켜줍니다.





그럼 위 화면과 같은 무구가 뜨며 서버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다음 내용은 다음글에 계속 써드리겠습니다..

글이 너무길어졌네요





728x90
반응형